유교에서는 제사를 지낼 때
위패를 지방이라고 해서
제사 상 위에 써서 붙여 놓는데, 이것이 문제가 많습니다.
벼슬을 하지 않은 사람은 아예 사람으로 취급을 안 합니다.
심하게 말하면 벼슬하지 않은 사람은 위패가 없다고 보면 됩니다.
왜냐하면 국록을 먹는 벼슬이 없으면 천편일률적으로 모든 사람의 위패(지방)를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합니다.
그야 말로 성도 없고 이름도 없습니다.
이것은 벼슬하지 못한 사람은 사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어머니의 위패를 쓸 때는
현비유인은진임씨신위(賢妃孺人恩津林氏神位) 라고 하여 성씨는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벼슬을 한 사람은 그 벼슬의 명칭을 씁니다.
위와 같은 것은 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위패는 특별한 양식이 있다기보다 정중하고 정확한 글씨로 아버지의 이름을 써 놓기만 해도 됩니다.
아니면 그냥 사진만 놓고 위패를 안 써도 됩니다.
실제로 옛날에도 영정을 가진 사람들은 위패를 사용하지 않기도 했답니다.
그러나 간단하고 모범적인 예를 든다면
'선부친홍길동영가' 라고 하면 됩니다.
여기서 선(先)이란
돌아가신 분을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부친(父親)은 아버지이고
모친(母親)은 어머니이니까,
할아버지나 할머니의 경우는
조부(祖父) 조모(祖母)라고 하면 됩니다.
그리고 어려운 한문으로 쓸 것 없이
한글로 쓰면 됩니다.
우리의 전통 제사는
유교식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각 지방마다 약간씩 다르고 집안마다도 약간씩 다릅니다.
이것은 결국 자기 방식대로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공연히 까다로운 법식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옛말에도 '남의 집 제사에 감 놓아라, 대추 놓아라 하다' 는 속담이 있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집식으로 하면 되는 것입니다.
제사는 첫째도 둘째도 정성입니다.
음식은 간결하고 깔끔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사 음식을 장만하는 것이 힘들고 귀찮아서 제사 자체를 싫어한다면 되겠습니까?
따라서 음식 장만은 매우 간결하고 정갈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음식을 장만하는 것에서부터 제사를 지내는 것 모두를 전 가족이 남녀 구별 없이 공동으로 해야 합니다.
돌아가신 부모님과 조상님을 위한 기제사날을 통하여 가족과 친족이 모여 화목한 문화를 만든다면 그것 보다 좋은 제사가 어디 있겠습니까.
〈사십구재란 무엇인가〉
효림 스님
'마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왔다가는 생에서 쓰임을 다하게 될까 (0) | 2023.06.21 |
---|---|
불교는 지혜를 귀중히 여깁니다 (0) | 2023.06.21 |
좋은 친구와 함께 있게 되면 (0) | 2023.06.18 |
물에 비친 모든 달은 (0) | 2023.06.18 |
자기의 뿌리인 주인공을 굳게 믿으라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