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이야기

누구든지 법을 위해 물으면​ 지혜와 복덕을 갖추게 되고

일심행 2023. 7. 13. 01:04
728x90
반응형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법을 위해 물으면

그는 지혜와 복덕을 갖추게 되고,

보살이 이 두 가지를 갖추면

불성을 알게 될 것이오.

 

불성을 제일의공이라 하니

그것은 곧 지혜요,

지혜는

공과 불공을 보고,

상과 무상을 보며,

고와 낙을 보고,

아와 무아를 봅니다.

공과 무상과 고와 무아는

생사요,

불공과 상과 낙과 아는

열반이요.

어느 한쪽만을 보고 다른 면을 보지 못하면 중도라고 할 수 없소.

중도는 불성이고

바른 깨달음의 종자요.

중생은 무명에 덮이어

이것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누에가 고치를 만들고 죽는 것과 같이 스스로 업을 지어 생사에 오락가락하는 것이오.

성문과 연각은 공한 것만 보고

공하지 않은 것은 보지 못하며,

내가 없는 것만 보고

'나'인 것은 보지 못하오.

그래서 '제일의공'을 얻지 못하고,

제일의공을 얻지 못하므로

중도를 행하지 못하고,

중도가 없으므로

불성을 보지 못하는 것이오.

생사의 원인은 무명과 애욕에 있고

이 두 중간에서 나고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 것이오.

이러한 생사는

중도에 의해 깨뜨릴 수 있으므로

중도의 법을 불성이라 하며,

불성은

영원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한 것인데,

중생들이 그것을 보지 못하고

무상하고 괴롭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않다고 합니다.

열반이란

곧 번뇌의 불이 꺼져버린 것이오.

또 열반은 우리들이 거처하는 방과 같아서

번뇌의 비바람을 막는 것이오.

중생의 눈으로 보면 밝지 못하지만

여래의 눈으로 보면 환하게 밝소.

아는 데에는 두 길이 있소.

눈으로 보는 것은

마치 손바닥에 과일을 쥐고 보는 것과 같은데, 중생은 들어서 알기 때문에 밝게 볼 수 없소.

그러나 지극한 믿음을 내면 볼 수 있을 것이오.

모든 법은

인연 따라 일어나고

인연 따라 사라지오.

그러나 불성은

깨뜨려지지도 않고 무너지지도 않으며,끌려가지도 않고 얽매이지도 아니하며 허공과 같소.

모든 중생에게는 다 허공과 같은 불성이 있소.

만약 이 불성이 없다면

가고 오는 것도 없고,

나고 크는 것도 없을 것이오.

허공에는 거리낌이 없기 때문에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것처럼,

중생의 불성도 그러하여

보살이라야 겨우 볼 수 있는 것이오.

중생은 이 불성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번뇌의 그물에 걸려 생사에 괴로워하지만,

불성을 보면

생사에서 해탈하여 열반을 얻을 것이오."

〈불교성전 〉동국대학교 역경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