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내는 것이
내가 내 성질을 이기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면
앙금이 남습니다.
화에서 나온 찌꺼기가 여러 여파를 남깁니다.
화를 내면서
우리의 마음은 불안정해지고
스트레스와 긴장이 증가하며,
화낼 때 사용한 감정적인 폭발이나
공격적인 말이나 행동은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고,
그로 인해 상대방과의 관계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신뢰와 이해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잡념이 없는 상태나
평정심을 찾은 상태에서는
감정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첫째, 마음을 가라앉히고
평정심을 찾으면
감정적인 요소가 배제되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의 주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하며, 이에 따라 논쟁에서 더 나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둘째, 차분하게 의사소통을 하면
상대방도 더욱 잘 들을 수 있습니다.
공격적이거나 감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차분하고 이해하기 쉬운 말투를 사용하는 것이 상대방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상대방이 좀 더 열린 마음으로 의견을 수용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마음이 가라앉은 상태에서는
논쟁이 끝난 후에도 감정적인 찌꺼기가 남지 않습니다.
언쟁이나 야단을 치면서 생긴 상처나 원한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분하게 대화를 이어가면 상대방과의 관계가 더욱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을 무념이라고 하는가?
〈문 안의 수행 문 밖의 수행〉월호 스님의 육조단경 강의에 보면 이러한 내용이 있습니다.
생각이 없는 것이 아니라
잡념이 없는 것,
밥 먹을 땐 밥 먹을 뿐,
잠잘 땐 잠잘 뿐인 것이
무념이라고 하자,
어떤 분이 그런 질문을 하더군요.
"그러면 싸울 땐 싸울 뿐입니까?"
이 세상을 살아나가다 보면
무조건 피해 갈 것도 아니고,
때로는 싸워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내 성질을 못 이겨서
화내는 것은
'싸울 뿐'이 아닙니다.
그것은 찌꺼기가 남습니다.
일단 내 마음을 가라앉히고
평정심을 찾은 상태에서
언쟁을 해야
오히려 언쟁에서도 이길 수 있고
또 언쟁이 끝나고 나서도
찌꺼기가 안 남는 겁니다.
아이들을 야단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막 성질이 나서 야단을 치면
반드시 찌꺼기가 남습니다.
아이에게도 충격을 주게 됩니다.
내 마음이 평정을 찾은 상태에서
차분하게 알아듣기 좋게 야단치면
아이들도 오히려 더 잘 알아듣고
찌꺼기가 안 남습니다.
그래서 '싸울 땐 싸울 뿐,
야단칠 땐 야단칠 뿐'
이것도 다 무념행입니다.
바로 본마음 참나에 입각해서
하는 행위가 다 무념행입니다.
내 욕심, 성냄, 어리석음이
개입되지 않은,
본마음 참나 자리,
분별심이 쉰 자리에서 하는 것이
바로 무념행입니다.
열심히 살되 애착하지 않는 것이
바로 무념행에서 나옵니다.
무념행이라는 것은
불리불염(不離不染),
떠나지도 않고
오염되지도 않는 것입니다.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있으면서도
물 위로 수려한 꽃을 피우는
연꽃은
불리불염의 대명사입니다.
여의지도 않고
떠나지도 않으면서도
오염되지도 않는 것이
바로 마하반야입니다.
커다란 지혜의 성품은
중생을 떠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중생에게 오염되는 것도 아닙니다.
'마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무언가가,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어떤 씨앗을 건드려 (13) | 2023.12.14 |
---|---|
내 존재의 의미는 나의 삶이 나에게 던지는 질문에 있다 (11) | 2023.12.14 |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삶의 사건이 되고 (1) | 2023.12.10 |
선택을 할 때는 이런 것들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22) | 2023.12.10 |
내게 성공의 비결이 있다면 (3) | 2023.12.06 |